영어 교육 & 강연, 기타 제안 등 문의하기

“Composite”라는 단어가 있다. 이는 무언가를 합쳐놓는 것을 말하는데,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에는 “합성의”라는 뜻으로 쓰이고, 명사로 쓰이는 경우에는 경찰에서 범인을 찾기 위해서 작성하는 몽타주를 말한다. “Composite” Something that is made up of different parts. A drawing of someone who is wanted by the police that is made using descriptions given by witnesses. 무언가를 짜깁기해서 범인의 인상착의를 그리는 것을 우리말에서는 “몽타주”라고 하는데, ...

“Disclaimer”라는 단어가 있다. 이는 어떤 책임, 권리 등에 대한 부인, 포기 등을 한다는 내용을 담은 것을 말한다. 영상이나, 신문, 사이트 등에서도 “Disclaimer”라는 문구를 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면책 조항” 정도로 볼 수 있다. 법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여지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미리 빠져나갈 길을 마련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Disclaimer”의 예로는 아래와 같은 문구를 들 수 있다. “The ...

“Adjudicate”라는 영어 단어가 있다. 이는 어떤 것에 대한 판결을 내리거나, 심판을 본다는 뜻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단어는 “Ad”, “Jud”, “Dic”가 결합되어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각각의 요소는 아래와 같은 뜻을 가진다. Ad : To Jud : Judge Dic : Speak 위와 같이 요소를 분해할 수 있는데, 결합해보면, “판단한 것을 말하다.”라는 말로 쓸 수 있다. 결국, “…로 판결하다, 재결하다, 선고하다, 심판하다.”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

최근 온라인에서 수업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둘러보면, 사이트 이름에 “101”이 들어가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101”은 영어로는 “원오원”으로 읽는데, 이는 흔히 “개론”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편이다. “개론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101” “101”을 개론으로 쓰기 시작한 것은 1929년부터라고 한다. 미국 버팔로대학교 수강편람을 만들면서 세자리 코드를 도입했는데, 맨 앞자리는 대상 학년, 두 번째 자리는 세부 전공, 마지막 자리는 난이도를 뜻하는 코드였다. 자연스럽게 101은 1학년 ...

스팸(SPAM) 메일은 전자우편, 게시판, 문자 메시지, 전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쪽지기능 등을 이용해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광고성 편지 혹은 메시지를 말한다. 우리는 이것을 흔히 “SPAM”으로 쓰는데, 사실 이 스팸(SPAM)은 우리나라에서 소비량이 높은 통조림 “스팸(SPAM)”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스팸 메일의 유래는 통조림 스팸에서 왔다?” 스팸(SPAM)은 미국 기업인 호멜 푸드에서 처음으로 생산한 고기 통조림 요리이다. 지방이 많아서 잘 팔리지 않는 부위를 버리기 아까워 ...

연장선(延長線)은 어떤 일이나 현상, 행위 따위가 계속해서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우리말 표현 중에는 “…의 연장선에서”라는 말을 쓰기도 하는데, 이번에는 이 표현을 영어로 어떻게 쓰는지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도록 한다. “…의 연장선에서를 영어로 어떻게 쓸까?” An Extension of … : …의 연장선에서 영어로 “Extension”은 “연장”을 뜻하는데, 우리가 말하는 “…의 연장선에서”라는 말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An Extension of …”와 같은 형태로 쓰이면서, ...

더치페이에서 “더치(Dutch)”는 네덜란드 사람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서 “더치페이”는 2명 이상의 단체가 모여 어떤 재화나 서비스에 대해 돈을 계산할 때, 한 사람이 한꺼번에 계산하지 않고 각 개인이 취한 부분에 대해서 돈을 따로 치르는 계산 방식을 뜻한다. 현대에는 더치페이가 이렇게 “돈을 나누어서 각자 내는 것”을 가리키지만, 과거의 더치페이는 다른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원래의 더치페이의 의미는?” 원래의 더치페이는 “한턱 내기”를 뜻했다. 또한 표현도 “더치페이”가 ...

우리나라 사람들이 영어를 사용하면서 쉽게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이런 점이다. “I Like Dog.”이라는 문장은 크게 문제가 없어 보인다. 아마도 “나는 강아지를 좋아합니다.”라는 뜻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쓴 문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쉽게도 위와 같이 쓰면, “나는 개고기를 좋아합니다.”라는 뜻이 된다. “I Like Dog. = 나는 개고기를 좋아합니다.” 사소한 부분처럼 보여서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인데, 위와 같이 동물을 단수로 사용하게 ...

우리가 흔히 샌드백이라고 부르는 물건은 “권투에서, 치는 힘을 기르고 치는 방법을 연습하기 위해서 천장에 매단 모래주머니”를 말한다. 샌드백은 일본식 영어인 “산도바구(サンドバック)”에서 왔다. 샌드백 안에는 모래가 들어있는 것이있기도 한데, 그래서 “모래가 들어있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어로도 이것을 똑같이 “샌드백(Sand Bag)”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지만, 아쉽게도 그렇지 않다. 이는 일본에서 온 일본식 영어이며, 실제 영어에서는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

농구 골대에는 원형의 고리와 백보드가 있다. 농구는 원형의 고리 안에 더 많은 공을 넣는 팀이 이기는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이 농구 골대는 “링(Ring)”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일반적으로 “Ring”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로 이것은 “림(Rim)”이라고 한다. “농구 골대의 림(Rim)” 농구 골대의 원형 모양의 고리는 “림(Rim)”이라고 하는데, “Rim”은 “둥근 물건의 가장자리 혹은 테”를 말한다. 그래서, 농구골대와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 단어라고 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