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교육 & 강연, 기타 제안 등 문의하기

“Make a Bed”라는 영어 표현이 있다. “Bed”는 침대를 뜻하지만, 단순히 침대를 뜻하는 것만 아니라, 우리가 잠을 공간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래서, 꼭 침대에서 잠을 자지 않더라도 “Go to Bed”라고 하면, 잠을 자러 간다는 뜻이 된다. “Make a Bed” 잠자리를 펴다. 잠자리를 정리하다. “Make a Bed”라는 영어 표현 역시도 이러한 내용에서 나온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크게 두 가지의 뜻으로 쓰이는데, ...

우리나라에서는 1회용 반창고를 “대일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일밴드는 고유 명사이지만, 대명사처럼 쓰이는 제품이다. 제품명이 유명해져서 대명사처럼 쓰이는 이름이라고 볼 수 있는데, 영어에서도 이러한 위치를 차지하는 제품이 있다. “Band Aid” 밴드 에이드 반창고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제품 영어에서 우리나라의 “대일밴드”와 같은 위상을 차지하는 제품은 바로 “Band Aid”이다. 이 제품 역시도 반창고의 이름에서 출발했는데, 제품명이 일반명사화 되어버린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반창고를 뜻하는 원래의 ...

“No Longer”라는 표현이 있다. 이는 과거에는 어떤 의미가 있었는데, 더 이상은 의미가 없어진 것을 가리키는 뜻으로 쓰인다. 우리말로는 간단하게 “더 이상 …가 아닌”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는데, 과거에는 유효했지만, 더 이상은 효력이 없는 법률 같은 것들을 가리키는 경우에 쓸 수 있기도 하다. 꼭, 법률이 아니더라도, 말 그대로 “더 이상 …가 아닌 경우”에 쓸 수 있다. “No Longer” 더 이상 …가 ...

영미권의 문화 중에는 “Pot Luck Party”라는 파티가 있다. 이는 참여자 각각이 다른 요리를 가지고 오는 파티를 말한다. 파티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음식을 “Pot”에 담아서 가지고 오는 파티라고 할 수 있는데, 참여자 입장에서는 누가 어떤 음식을 가져올지 모르기 때문에 “복불복” 느낌이 드는 파티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나온 표현으로 “Pot Luck”은 “운에 맡긴다” 혹은 “복불복으로”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Pot Luck” 운에 맡기고 복불복으로 ...

“About”은 일반적으로 “…에 대해서”라는 뜻으로 흔히 사용된다. 하지만, 간혹 다른 뜻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번에 한 번 알아보도록 한다. “About” …에 대해서 여기 (Here / Somewhere Near Here) “About”은 “…에 대해서”라는 뜻 외에도 다른 뜻으로 “Here” 혹은 “Somewhere near here”라는 뜻으로 쓰인다. 우리말로는 “여기” 혹은 “근처에”라는 뜻으로 쓸 수 있다. “Is he about today?” = “Is he here today?” (그는 오늘 ...

“State”와 “Status”는 모두 영어로 상태를 뜻하는 말이다. 우리말에서는 이것을 모두 “상태”로 표현하는데, 영어에서는 두 가지로 나누어서 쓰는 만큼, 의미에서도 조금은 차이를 보인다. “State Vs Status” State : 한 시점에서의 상태 Status : 경과가 진행중인 상태 “State : 한 시점에서의 상태” “State”는 한 시점에서의 상태를 말한다. 지금 현재 어떤 상태에 있는 것을 뜻하는 경우에 쓰는 표현이다. 현재 비상사태인 경우, “State”로 사용하며 ...

“Sarcasm”은 우리말로 빈정대기, 혹은 비꼼이라는 말로 옮길 수 있는 표현이다. 다른 누군가의 말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빈정대는 말로 풀어내는 경우에 쓸 수 있는 표현이다. “Sarcasm” 빈정대기 비꼼 공대 졸업생들이 등장하는 미국 시트콤 “빅뱅이론(The Big Bang Theory)”에서는 사회성이 결여되고 타인의 감정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쉘든이라는 캐릭터가 나오는데, 타인이 비꼬듯이 하는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캐릭터로 나온다. 작중에서, 쉘든과 함게 생활하는 ...

“Communal”이라는 단어는 “Community”에서 온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온 단어로 “공동의, 공유의”라는 뜻으로 쓰인다. “Communal” (특히 함께 사는 사람들) 공동의, 공용의 (한 공동체 내의) 집단들이 관련된 여러 사람들이 함께 공유하는 것을 가리키는 형용사로, 공용화장실이나, 공용샤워실 등을 가리키는 경우에도 쓸 수 있는 단어이다. “Parks are the communal property for all the people to enjoy.” (공원은 모든 사람들이 누리는 공공의 재산이다.) ...

우리말 표현 중에는 “운명의 장난으로…”라는 표현이 있다. 기구한 운명이나, 특별한 사건이나 상황 등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영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표현이 있는데, 바로 “By the Irony of Fate”라는 표현이다. “By the Irony of Fate” 운명의 역설로 운명의 장난으로 “Irony”는 반어법을 가리키기도 하고, 역설적인 상황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그래서 위의 표현을 “운명의 역설로”라는 말로 직역해볼 수 있다. 이를 조금 더 우리말답게 순화화면, ...

“As One Sows, So Shall He Reap.”라는 영어 속담이 있다. 이를 문자 그대로 해석해보면, “씨를 뿌린 대로, 수확할 것이다.”라고 옮겨볼 수 있다. 이는 우리말 속담인 “뿌린 대로 거둔다.”와 닮아있는 속담이다. “As One Sows, So Shall He Reap.” 씨를 뿌린 대로, 수확할 것이다. 뿌린 대로 거둔다. “Sow”는 씨를 뿌린다는 뜻이고, “Reap”은 수확하다는 뜻이다. 결국, 말 그대로 씨를 뿌린대로 거둔다는 뜻으로, 우리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