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교육 & 강연, 기타 제안 등 문의하기

“Wetiquette”이라는 영어 단어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두 단어가 합쳐져서 탄생한 새로운 단어이다. 바로 “Wet”과 “Etiquette”이라는 단어가 합쳐져서 탄생한 단어로, “수영장에서 지켜야 할 매너”를 뜻한다. “Wetiquette” 수영장에서 지켜야 할 매너 Wet + Etiquette 이는 수영장에서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예절을 말하는데, 수영하기 전에 샤워를 하는 것, 수영모를 쓰는 것, 수영장에서 볼일을 보지 않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는 ...

“Splash”는 의성어 중의 하나로 “첨벙첨벙”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동사로 쓰이는 경우에는 “물을 튀기다, 끼얹다.” 정도의 뜻으로 쓰인다. “Splash” 물을 튀기다. 물 등을 끼얹다. 하지만, 여기에 “Out”이 붙어서 “Splash Out”이 되면, 전혀 다른 뜻으로 쓰이는데, “돈을 물 쓰듯이 펑펑쓰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Splash Out” 돈을 펑펑쓰다. 돈을 물 쓰듯 쓰다. 이는 마치, 돈을 한번에 펑펑 사용하듯이, 돈 역시도 물 쓰듯이 많이 쓰는 ...

“Cheese”는 먹는 치즈를 뜻하기도 하지만, 영어에서는 저급한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그 외의 다른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Cheese”가 동사로 쓰이는 경우, “짜증나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Cheese (Someone) Off” 누군가를 짜증나게 하다. 위와 같은 형태로 쓰이는 경우에는 다른 누군가를 짜증나게 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I was really cheesed off at the guy.” (난 그에게 화가 정말 많이 났단 말이야.) “She scrunches up her ...

영어 표현 중에는 “Mr. Right” 혹은 “Miss Right”와 같은 표현이 있다. “Right”은 “옳은”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옳은 남자, 옳은 여자” 정도로 옮겨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주로 관용적인 뜻으로 쓰이는데, 이는 주로 알맞은 결혼상대라는 뜻으로 쓰인다. “Mr. Right, Miss Right” Mr. Right : 알맞은 남편감 Miss Right : 알맞은 신부감 “He finally found Miss Right and married in ...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2016년 3월 인공지능과 인간의 바둑 대결이 펼쳐지면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은 더욱더 높아지게 되었다. 당시 경기는 구글에서 개발한 인공지능인 알파고가 인간 대표로 나온 이세돌 선수에게 4:1로 승리를 거두면서 끝이 났다. “AI :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을 뜻하는 “AI”는 “Artificial Intelligence”의 약자이다. 말 그대로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지능”이라는 뜻이다. Artificial : 인공적인, 인공의 Intelligence : 지능 하지만, “AI”는 ...

“Lamp”와 “Ramp”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전혀 다른 뜻으로 쓰이는 단어이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잘 구분하기 어려운데, “L/R” 발음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Lamp VS Ramp” Lamp : 등불 Ramp : 경사로 위 단어는 생김새만 비슷할 뿐, 실제로는 전혀다른 뜻으로 쓰이는데, “Lamp”는 등불, “Ramp”는 경사로라는 뜻으로 쓰인다. “Lamp”는 스탠드 형태의 등불을 떠올려 볼 수 있는데, 이는 불빛을 내는 것과 관련이 있는 단어이다. ...

“Use Your Loaf”라는 영어 표현이 있다. 이를 직역해보면, “빵 한 덩이를 써라.”라는 말로 옮겨볼 수 있는데, 이는 주로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Use Your Loaf” 머리를 써라. 이는 관용적으로 “머리를 써라.”라는 뜻으로 쓰이는데, 이 표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코크니 라이밍 슬랭”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영국 런던 암호 사투리? 코크니 라이밍 슬랭 “Loaf”는 일반적으로 “빵 한덩이”를 뜻하는데, 코크니 라이밍 슬랭에서는 “Head”라는 뜻으로 쓰인다. ...

영국에는 다양한 영국 사투리가 있다.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의 사투리가 존재한다. 그중에서 특히 유명한 사투리로는 영국의 수도 런던의 “코크리 라이밍 슬랭(Cockney Rhying Slang)”이라는 것이다. “Cockney rhyming slang : 코크니 라이밍 슬랭” “코크니(Cockney)”는 런던 동쪽에 있는 지역을 가리킨다. 과거 영국 런던 동쪽지역은 타워브리지를 기준으로 여러 상선이 드나들며, 시장이 형성되면서 상인들과 노동자 계층이 많이 살게 되었다. 상인들과 노동자들이 대화 내용을 다른 ...

“Ginormous”이라는 단어는 두 가지의 단어가 합쳐저서 생긴 단어이다. 의미는 어마어마하게 큰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Ginormous” 어마어마하게 큰 Gigantic + Enormous 이는 “Gigantic”이라는 단어와 “Enormous”라는 단어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단어인데, 두 단어 모두 “어마어마하게 큰”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결국, “Ginormous”는 큰 것을 두개 합쳐놓은 것이니, 그것들보다 더 큰 것을 의미하는 경우에 쓸 수 있을 것이다. “큰 것을 의미하는 다양한 형용사들” 큰 것을 가리키는 다양한 ...

“Guesstimate”이라는 단어는 두 가지의 단어가 합쳐져서 생긴 단어이다. 일종의 신조어라고 할 수 있는데, 의미는 아래와 같다. “Guesstimate” 어림짐작하다. Guess + Estimate 이는 “추측하다”라는 뜻의 “Guess”라는 단어와 “추정하다, 추정하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 “Estimate”가 합쳐져서 생긴 단어이다. 두 가지가 합쳐져서 “어림짐작하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표현이 되었다. I guesstimate that the sale has increased by 50 percent.” (대충 짐작에 판매 실적이 50% 증가한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