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교육 & 강연, 기타 제안 등 문의하기

양치식물(羊齒植物)은 관다발 식물 중에서 꽃이 피지 않고 홀씨로 번식하는 식물계의 한 문이다. 이는 은화식물의 한 무리로 뿌리ㆍ줄기ㆍ잎의 분화가 분명하며, 물관부와 체관부의 구별이 있는 관다발이 발달되어 있다. 세대 교번을 하고, 배우체가 홀씨체와 독립하여 생활하는데 홀씨체가 크고 배우체는 극히 작다. 진화상 이끼 식물과 종자식물의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 세계에 1만 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50여 종이 있다. “Fern” ...

분노(憤怒/忿怒)는 분개하여 몹시 성을 내는 것을 뜻한다. 격분(激忿) 역시도 몹시 분하고 노여운 감정이 북받쳐 오르는 것을 뜻한다. “Fury”는 이러한 분노와 격분에 관련된 영어 단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폭력을 동반한 분노나 격분을 의미하는 편이다. “Fury” (격렬한) 분노, 격분 (흔히 폭력을 동반함) 격노한 상태, 격분한 상태 (고대 그리스 신화 속의) 복수의 세 여신 이를 영영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Fury” (NOUN) ...

“Bonkers”이라는 단어는 샘김새만 보면 명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형용사로 쓰이는 단어이다. 이는 “제정신이 아닌”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Bonkers” 이는 “Go Bonkers”와 같이 쓰이기도 하며, “돌아버리겠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Go Bonkers” ...

“Shortlist”이라는 단어는 명사와 동사로 쓰이는 단어이다. 이는 “최종 후보자 명단”이나, “최종 심사 대상자 명단”을 의미한다. 동사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최종 후보자 명단에 넣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Shortlist” ...

“Tender”이라는 단어는 다양한 뜻으로 쓰이는데, 기본적으로는 상냥하거나, 부드러운 것을 뜻한다. 사람의 성격이 상냥하거나, 다정하거나 애정어린 것을 가리키기도 하고, 음식이 연한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나무나 식물 등이 연약하거나 다치기 쉬운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 외에도 명사, 동사로 쓰이기도 하며, 형용사와는 전혀 다른 뜻을 지니기도 한다. “Tender” – 형용사 – 명사 – 동사 ...

“Sentimental”이라는 단어는 형용사로 쓰이는 단어이다. 이는 특히, 정서적이거나, 감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혹은 지나치게 감상적인 것을 가리키는데, 이 경우에는 흔히 못마땅한 느낌을 담고 있다. 이와 정반대의 의미를 갖는 단어는 “Unsentimental”이며, 이는 “Sentimental”에 부정을 의미하는 접두어 “Un-“이 합쳐져서 탄생한 단어이다. “Sentimental” 이를 영영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Sentimental” ...

낙수효과(落水效果)는 물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듯이 대기업이 성장하면 대기업과 연관된 중소기업이 성장하고 새로운 일자리도 많이 창출되어 서민 경제도 좋아지는 효과를 말한다. 이를 영어로는 “Trickle Down Effect”라고 한다. 또한, 이를 줄여서 “Trickle Down”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는 우리가 말하는 “낙수효과”와 같다. “Trickle Down” 이를 영영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표현하고 있다. “Trickle Down” ...

“Collide”라는 영어 단어가 있는데, 이는 동사로 쓰인다. 의미는 어딘가에 충돌하거나 부딪치는 것을 뜻한다. 이는 물리적으로 무언가가 부딪치는 것을 뜻하기도 하지만, 추상적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충돌이 나거나 의견이 맞지 않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Collide” 충돌하다, 부딪치다. (사람들이나 의견 등이) 충돌하다, 상충하다. 이를 영영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Collide” (VERB) To hit something or each other with strong force, to crash together or ...

배심원(陪審員)은 법률 전문가가 아닌 일반 국민 가운데 선출되어 심리(審理)나 재판에 참여하고 사실 인정에 대하여 판단을 내리는 사람을 말한다. 우리나라에는 배심원 제도가 없지만, 미국에서는 배심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시민의 권리이자 의무이기도 하다. “Juror” ...

원한(怨恨)은 억울하고 원통한 일을 당하여 응어리진 마음을 뜻하고, 증오(憎惡)는 아주 사무치게 미워하거나 그런 마음을 뜻한다. 적대감(敵對感)은 적으로 여기는 감정을 의미한다. 원한(怨恨), 증오(憎惡), 적대감(敵對感)은 모두 부정적인 감정으로 쓰이는데, 영어 단어 “Enmity”는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3가지 뜻으로 쓰인다. “Enmity” 원한(怨恨), 증오(憎惡), 적대감(敵對感) (NOUN) (Formal) A very deep unfriendly feeling. “Her action earned her the enmity of two or three colleagues.” (그녀는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