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교육 & 강연, 기타 제안 등 문의하기

“In Time”과 “On Time”은 닮은 꼴의 표현이다. 전체적으로 비슷한 의미로 쓰이지만, 구체적으로 파고 들어가보면, 다른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In Time VS On Time” In Time : 시간 안에, 시간에 늦지 않게 On Time : 정확하게 시간을 어기지 않고, 정각에 “In Time : 시간 안에, 시간에 늦지 않게” “In Time”은 전치사 “In”이 가지는 속성에서 볼 수 있듯이 “… 안에”있다는 의미가 강하다. ...

“Harassment”는 무언가 괴롭히는 것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동사 형태로는 “Harass”로 쓰고, 명사형으로는 “Harassment”로 쓴다. 이는 다양한 괴롭힘을 나타내는 경우에 쓸 수 있는 단어이다. “Harassment” 괴롭힘 이는 다양한 괴롭힘을 나타내는 경우에 쓰이는데,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Sexual Harassment : 성추행 Racial Harassment : 인종차별 Verbal Harassment : 언어폭력 이러한 표현이 문장에서 쓰이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쓰인다. “They have a policy of ...

“Spike”는 명사로는 무언가 뾰족한 것을 가리키는 단어인데, 다른 의미로는 “급등”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것이 동사로 쓰이는 경우에는 “급등하다.”라는 말로 옮길 수 있다. “Spike” 자체가 무언가 뾰족한 모습을 가리키기에, 급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무언가 급등하는 경우, 그래프가 뾰족한 모습으로 나타나기에 연상할 수 있는 단어이다. “Spike” 못, 못같이 뾰족한 것 급등, 급등하다. “The US dollar spiked to a three-month high.” (미국 달러가 ...

“No Wonder”라는 표현은 “그도 그럴 것이” 혹은 “어쩐지”라는 뜻으로 쓰인다. 이를 직역해보면, “궁금하지 않다.” 혹은 “놀라지 않다.” 정도로 옮겨볼 수 있는데, 이는 “It’s No Wonder That …”에서 “It’s”와 “That…” 이하의 내용이 생략된 표현이다. “It’s No Wonder That S + V : … 하는 것은 놀랄 것도 아니다. = 당연하다.” “Its No Wonder …”라고 하면, “That” 이하의 주어 + 동사하는 것은 ...

“Make a Bed”라는 영어 표현이 있다. “Bed”는 침대를 뜻하지만, 단순히 침대를 뜻하는 것만 아니라, 우리가 잠을 공간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래서, 꼭 침대에서 잠을 자지 않더라도 “Go to Bed”라고 하면, 잠을 자러 간다는 뜻이 된다. “Make a Bed” 잠자리를 펴다. 잠자리를 정리하다. “Make a Bed”라는 영어 표현 역시도 이러한 내용에서 나온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크게 두 가지의 뜻으로 쓰이는데, ...

우리나라에서는 1회용 반창고를 “대일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일밴드는 고유 명사이지만, 대명사처럼 쓰이는 제품이다. 제품명이 유명해져서 대명사처럼 쓰이는 이름이라고 볼 수 있는데, 영어에서도 이러한 위치를 차지하는 제품이 있다. “Band Aid” 밴드 에이드 반창고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제품 영어에서 우리나라의 “대일밴드”와 같은 위상을 차지하는 제품은 바로 “Band Aid”이다. 이 제품 역시도 반창고의 이름에서 출발했는데, 제품명이 일반명사화 되어버린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반창고를 뜻하는 원래의 ...

“No Longer”라는 표현이 있다. 이는 과거에는 어떤 의미가 있었는데, 더 이상은 의미가 없어진 것을 가리키는 뜻으로 쓰인다. 우리말로는 간단하게 “더 이상 …가 아닌”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는데, 과거에는 유효했지만, 더 이상은 효력이 없는 법률 같은 것들을 가리키는 경우에 쓸 수 있기도 하다. 꼭, 법률이 아니더라도, 말 그대로 “더 이상 …가 아닌 경우”에 쓸 수 있다. “No Longer” 더 이상 …가 ...

영미권의 문화 중에는 “Pot Luck Party”라는 파티가 있다. 이는 참여자 각각이 다른 요리를 가지고 오는 파티를 말한다. 파티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음식을 “Pot”에 담아서 가지고 오는 파티라고 할 수 있는데, 참여자 입장에서는 누가 어떤 음식을 가져올지 모르기 때문에 “복불복” 느낌이 드는 파티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나온 표현으로 “Pot Luck”은 “운에 맡긴다” 혹은 “복불복으로”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Pot Luck” 운에 맡기고 복불복으로 ...

“About”은 일반적으로 “…에 대해서”라는 뜻으로 흔히 사용된다. 하지만, 간혹 다른 뜻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번에 한 번 알아보도록 한다. “About” …에 대해서 여기 (Here / Somewhere Near Here) “About”은 “…에 대해서”라는 뜻 외에도 다른 뜻으로 “Here” 혹은 “Somewhere near here”라는 뜻으로 쓰인다. 우리말로는 “여기” 혹은 “근처에”라는 뜻으로 쓸 수 있다. “Is he about today?” = “Is he here today?” (그는 오늘 ...

“State”와 “Status”는 모두 영어로 상태를 뜻하는 말이다. 우리말에서는 이것을 모두 “상태”로 표현하는데, 영어에서는 두 가지로 나누어서 쓰는 만큼, 의미에서도 조금은 차이를 보인다. “State Vs Status” State : 한 시점에서의 상태 Status : 경과가 진행중인 상태 “State : 한 시점에서의 상태” “State”는 한 시점에서의 상태를 말한다. 지금 현재 어떤 상태에 있는 것을 뜻하는 경우에 쓰는 표현이다. 현재 비상사태인 경우, “State”로 사용하며 ...